bigrabbit 2024. 7. 23. 22:04
반응형

출처 - 네이버


양자물리학 다음으로 추천받았던 영화가 몇 가지 있었는데,
그 중 하나가 유해진 배우 나온다해서 이끌림에 의해 보게 된 것 같다.
무슨 뜻인지는 보면서 알게됐지만,
(나중에 포스터보고 알았음..뜻 저렇게 대놓고 써있는데 또 나만 몰랐지..)

이 영화를 이미 보신분들은 우리가 쓰는 언어에 대해 감사하게 생각하고,
아마도 한글로 만들어진 모든 것을 더 사랑하게 될 것 같다.
우리는 자국을 잃어봤어도, 언어를 금방 되 찾은 나라이니까.
(이 부분이 중요한게 일제강점기때 자국의 언어를 잃어버린 나라가 많았고,
실제로 그 자국언어를 되찾은건 유일하게 우리나라 뿐이라고 한다.)
극중에 유해진 배우는 문맹에서 언어를 배우고,
말모이를 완성하는데 있어서 큰 일을 도모한 사람중 하나였다.
잡혀서 사라질뻔한 원고만 잘 숨겨놓고, 본인을 미끼로 사체가 되어 어딘가에 버려지고,
해방이되고 나서야 발견된 원고, 그게 바로 말모이였다.

말모이
일제강점기 주시경(1876-1914)이 1911년에 편찬한 우리나아 최초의 우리말 사전.국어사전.
(정식으로 간행되지 못하고 원고 형태로만 남아있으나,
우리나라 최초의 우리말 사전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.)
출처 - 한국학중앙연구원


분명히 개봉한 건 알고 있지만, 못 본 영화가 너무 많아서
하나씩 꺼내먹는 중이다.
다 보고 볼게없을가봐 남겨뒀었나 싶고,
개봉할 때 봤으면 좀 더 좋았을 것 같은 영화였다.
이제라도 봤으니 얼마나 다행이야.
나도 추천받은 영화지만,
한국인이라면 꼭 봐야 할 영화로 추천할 것 같다.

반응형